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아버지, 러시아 수학자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로바체프스키(1792~1856) 로바체프스키는 흔히 “비유클리드 기하학(Non-Euclidean geometry)의 창시자”로 불립니다. 그가 활동하던 19세기 초는 유클리드 기하학이 2000년 넘게 절대적 진리로 여겨지던 시대였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유클리드가 『원론』에서 정립한 다섯 개의 공리, 특히 **평행선 공준(제5공리)**은 많은 수학자들이 오랫동안 증명하거나 다른 공리에서 유도하려고 노력했지만 번번이 실패한 난제였습니다. 로바체프스키는 기존의 집착을 내려놓고, 평행선 공준을 수정하여 새로운 기하학 체계를 세움으로써 전혀 다른 세계를 열어젖혔습니다. 이 혁명적 업적 때문에 그는 가우스, 보야이와 함께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3대 거장으로 불리며, 현대 수학의 전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1. 생애와 학문적 배경 로바체프스.. 2025. 9. 19.
컴퓨터 과학의 창시자,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1912~1954) 20세기 수학과 컴퓨터 과학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 중 가장 빛나는 이름을 꼽으라면, 영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 암호해독가였던 앨런 튜링(Alan Turing)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그는 불과 41년의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현대의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 계산 이론의 토대를 놓았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의 승리를 앞당기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튜링의 업적은 수학적 깊이뿐 아니라 실질적 응용에서도 막대한 파급력을 지녔으며,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와 디지털 사회 전반은 그의 사유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 어린 시절과 교육 앨런 튜링은 1912년 6월 23일 런던 메이다 베일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줄리어스 매더 튜링은 인도 행정청 소속의 관리였으며, 어머니 에설 사.. 2025. 9. 18.
서양 철학의 시조, 고대 그리스 수학자 탈레스(BC 624~BC 546) 탈레스(기원전 약 624년경 ~ 기원전 546년경)는 고대 그리스 이오니아 지방의 도시 밀레토스(Miletus) 출신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천문학자이다. 그는 흔히 “철학의 아버지” 혹은 “서양 철학의 시조”라고 불리며, 동시에 기하학과 수학적 사고를 체계화한 최초의 인물 중 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또한 “그리스 7현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자연 현상을 신화가 아닌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설명으로 이해하려 했던 선구자였다.1. 생애와 시대적 배경 탈레스가 활동하던 시기는 그리스 철학이 막 싹트던 아르카익 시대였다. 당시 그리스인들은 세계와 자연을 신화적·종교적으로 해석하였는데, 탈레스는 최초로 자연 현상을 신의 개입이 아닌 원리(아르케, ἀρχή)로 설명하려 했다. 그는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라는 주.. 2025. 9. 18.
태양계 - 왜소행성 태양계에는 행성 이외에 태양 둘레에서 궤도 운동하는 행성과 유사한 천체들이 있다. 이들은 거의 구에 가까운 형태를 갖고 있지만 자신의 궤도 주변에 있는 물체를 깨끗이 제거하지 못한 천체들이다. 왜소행성의 크기와 질량의 상한값과 하한값은 명확하게 결정되어 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하한값은 정역학적인 평형상태에 있는 천체의 모양으로부터 결정되지만 왜소행성을 구성하는 물질의 성분과 역사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수년 내에 발견될 왜소행성은 약 40~50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까지 태양계에는 5개[세레스(Ceres), 명왕성(Pluto), 에리스(Eris), 하우메아(Haumea), 그리고 마케마케(Makemake)]의 왜소행성이 알려져 있다. 과거에 세레스는 소행성으로 그리고 명왕성은 행성.. 2025. 9. 17.
수학과 자연의 조화 피보나치 수열, 이탈리아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1170~1240?) 1. 생애와 배경피보나치(Fibonacci)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인물의 본명은 레오나르도 피사(Leonardo da Pisa) 또는 **레오나르도 보나치(Leonardo Bonacci)**이다. 그는 약 1170년경 이탈리아 피사에서 태어났으며, 사망은 대략 1240년 이후로 추정된다. 중세 유럽에서 활동했던 수학자로, 아랍 세계와 인도의 수학 지식을 유럽에 본격적으로 도입한 핵심적인 인물이었다.그의 아버지 구글리엘모는 무역업과 세관 업무를 담당하는 관리였고, 북아프리카의 항구 도시인 부지아(Bugia, 오늘날의 알제리 베자이아)에서 활동하였다. 어린 피보나치는 아버지를 따라 북아프리카에서 교육을 받으며 자연스럽게 아랍 수학과 인도-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접하게 되었다. 이 경험은 그가 후에 유럽 수학.. 2025. 9. 17.
미적분학의 공동 창시자,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1716) 생애와 시대적 배경 라이프니츠는 1646년 7월 1일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났다. 그는 삼십 년 전쟁의 여파가 여전히 독일 전역을 뒤흔들던 시기에 성장했으며, 전쟁으로 황폐해진 사회와 종교 갈등 속에서 철학과 과학, 그리고 국가 운영에 이르는 방대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아버지는 대학 교수였고, 일찍 세상을 떠났지만 어린 라이프니츠에게 책과 학문의 중요성을 남겨주었다. 어린 시절부터 비범한 지적 호기심을 드러낸 그는 12세에 라틴어와 그리스어 고전을 독학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고대 논리학을 스스로 읽고 해석했다. 14세에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법학을 공부했으며, 특히 법철학과 자연철학, 수학, 신학에까지 관심을 넓혀갔다. 그는 ‘보편지식 체계’를 구축하려는 야심을 지녔고,.. 2025.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