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이야기14

태양계 - 금성 태양에서 두 번째 위치에 있는 금성은 그 질량과 반지름이 지구와 비슷하여 지구의 자매 별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지구와 금성은 그 기본 특성에 있어서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역행 자전 1960년대에 금성의 여러 독특한 특성 중에서 한 가지가 발견되었다. 금성의 대기는 적도의 구름 윗부분에서 약 초속 100m의 속도로 역행운동(궤도운동과 반대 방향)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금성 대기의 구름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내려진 것이며, 그 후 구름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선의 스펙트럼에 서 도플러 이동을 측정하여 확인되었다. 그 후 지구상에서 금성 표면의 레이더 도플러 효과를 측정하여 금성 자체도 역행 자전하고 있으며 그 속도는 대기 상층부의 속도보다 약 60배 더 느리다는 .. 2025. 9. 6.
태양계 - 수성 네 개의 지구형 행성들은 비교적 작은 크기, 암석 구성, 느린 자전 속도 등 여러 가지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구의 달과 거대행성의 위성 중 몇몇 위성도 이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장에서는 지구형 행성과 그 위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거대행성과 그 시스템은 다음 장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수성의 3 대 2 자전 - 공전 주기 결합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인 수성은 그 공전궤도가 태양에 너무 가까워서 케플러의 법칙이 어긋나기 시작한다. 그 이유는 질량이 큰 물체 부근에서는 시공간이 왜곡되어, 중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뉴턴의 중력의 법칙이 정확하게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첫 시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수성의 이심궤도가 아니라 근일점이 서서히 전진하고 .. 2025.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