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피타고라스의 정리,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BC 570 ~ BC 495) 피타고라스(기원전 약 570년 ~ 기원전 495년경)는 고대 그리스 철학과 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그는 흔히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유명하지만, 단순히 하나의 정리를 남긴 수학자가 아니라 철학자, 종교적 지도자, 음악 이론가, 그리고 독특한 학파의 창시자였다. 피타고라스와 그의 제자들이 남긴 사상은 이후 서양 철학, 과학, 수학, 심지어 종교적 전통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1. 생애와 배경 피타고라스는 에게해의 사모스 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상인 혹은 보석 세공인이었으며, 그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지적 호기심을 보였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피타고라스는 젊은 시절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심지어 인도까지 여행하며 다양한 학문과 종교적 지식을 습득했다고 한다. 이집트에서 그는 기하학과 종.. 2025. 9. 13.
태양계 - 거대 행성계(2) 내부열과 냉각 속도 행성의 형성과 구조 및 진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또 다른 관측은 내부에서 누출되는 열을 측정하는 것이다. 지구형 행성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주로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거대 행성의 내부에서 나오는 대량의 열을 설명하는 데는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예를 들면 목성은 5.014*10^17W의 열을 태양에서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며, 내부에서 추가적으로 3.35*10^17W의 열이 발생한다. 이 추가 열로 인해 태양 흑체 복사만 고려할 때의 에너지 수지와 열평형 온도가 크게 변화한다. 해왕성의 경우 방출되는 열의 절반 이상이 내부에서 나오고 있으며 이것이 해왕성이 천왕성보다 태양에서 훨씬 더 멀리 있지만 그 유효 온도가 천왕성과 비슷한 이유를 설명해 준.. 2025. 9. 13.
태양계 - 거대 행성계(1) 태양을 제외하면 태양계에서 가장 큰 천체는 목성으로 지구보다 317.83배 더 질량이 크다. 목성과 다른 세 개의 거대 행성인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합하면 태양계 행성 전체 질량의 99.5%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려면 이 거대 행성들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갈릴레이 위성의 발견 목성과 토성에 대한 육안 관측은 인류가 처음 하늘을 올려다보기 시작한 때부터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망원경을 통하여 행성을 관측하기 시작한 것은 1610년 갈릴레오가 처음이었다. 그는 망원경으로 목성을 관측하여 네 개의 위성을 발견하였으며 그 위성들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모두 갈릴레이 위성이라 부른다. 갈릴레오는 토성의 고리도 관측하였으나 망원경의 해상도가 낮아서 두 개의 큰 위성이 서로 반대편에 .. 2025. 9. 12.
집합론의 창시자, 독일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1845-1918) 독일의 위대한 수학자 게오르크 페르디난트 루트비히 필리프 칸토어(Georg Ferdinand Ludwig Philipp Cantor, 1845~1918)는 ‘무한(無限)의 수학자’라 불릴 만한 혁명적 발견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현대 수학의 근간을 이루는 **집합론(Set Theory)**을 창시했고, 특히 무한의 개념을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체계화하여 수학사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그의 업적은 단순히 한 분야의 연구를 넘어, 오늘날 수학 전체를 지탱하는 기초를 제공했으며, 철학과 논리학, 심지어 신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생전에는 많은 비판과 고립을 겪었고, 그로 인해 정신적 고통을 안고 살아야 했던 비극적인 천재이기도 했다.■ 어린 시절과 성장 칸토어는 .. 2025. 9. 11.
태양계 - 화성(2) 극지방의 극관 현재 극지방의 극관에 얼음이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극관은 주로 드라이아이스로 구성된 것이다. 화성의 자전축은 공전 궤도의 수직인 축에서 25도 기울어져 있으며 그 공전주기는 1.88년이므로 계절적 변화는 지구와 비슷하지만 대략 두 배 더 길다. 따라서 화성의 극관은 여름과 겨울의 계절 변화에 따라서 그 크기가 변화하는 모양을 보여준다. 여름에는 드라이아이스가 녹아서 증발하고 겨울에는 다시 언다. 여름에 남아 있는 작은 극관은 물이 언 것이다. 화성 자전축의 불규칙한 변동 화성의 운동이 장기간 안정한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된 수지 시뮬레이션 결과는 화성의 자전축은 수백만년에 걸쳐 0도에서 60도까지 크게(불규칙하게)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동은 태양 및 다른 행성과 중력 상.. 2025. 9. 11.
리만 가설의 주인공, 독일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1826-1866)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베른하르트 리만은 1826년 9월 17일 독일 하노버 왕국의 작은 마을 브레세렌체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넉넉하지 않았으며 아버지는 가난한 루터교 목사였다. 어린 시절 리만은 내성적이고 말수가 적었지만, 머리가 매우 총명하여 또래보다 일찍 수학적 재능을 드러냈다. 그는 종종 성경 속 족보나 수치를 분석하며 놀았고, 이러한 습관은 그가 논리적 구조와 숫자의 관계를 깊이 탐구하는 데 특별한 흥미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리만은 병약하여 체력적으로는 뒤처졌지만, 지적인 호기심과 기억력, 집중력에서는 압도적인 능력을 보였다. 그의 학문적 재능은 교사와 목회자들의 눈에 띄어 특별한 후원을 받을 수 있었다. 원래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신학자가 되길 기대했으나, 리만은 점차 수학에 매료되었다... 2025. 9. 10.